주식투자 기초 용어사전
코스피 KOSPI
종합주가지수(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 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전체적 주가를 기준시점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지표. 증권시장에서 1980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하고 기준 시점의 주가기준을 100으로 하여 상장기업의 주식변동을 기준시점의 주가기준과 비교하여 비교시점의 전체적인 주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지금 코스피가 2,000이면 1980년보다 시가 총액이 20배라는 의미이다. 기업 규모 요건은 자기 자본 300억 이상, 영업 활동 3년 이상, 매출액 초치근 1,000억 이상 등 여러 조건을 충족해야 코스피에 상장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종합주가지수는 시가총액 방식으로 주가지수를 산출하고 발표하기 떄문에 대형주의 주가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코스닥 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 첨단벤처기업 중심 시장인 미국의 나스닥(Nasdq)시장을 본떠 만든 것으로, 증권거래소 시장과는 다른 별도의 시장이다. 증권거래소와 같은 특정한 거래장소가 없고 컴퓨터와 통신망을 이용해 주식을 매매하는 전자거래 시장을 말한다.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창구를 마련하는 한편 일반 투자자에게 새로운 투자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1996년 7월 개설됐다. 코스닥시장은 증권거래소에 비해 규제가 덜한 편이며, 비교적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다. 또 미래에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지만 위험도 높다. 한마디로 '고위험 고수익(high rish kigh return)' 시장이라 할 수 있다.
펀드 Fund
투자전문기관이 일반일들로부터 돈을 모아 증권 투자를 하고 여기서 올린 수익을 다시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것. 주식을 그냥 사고파는 직접투자와 대비되는 간접투자방식의 전형적인 예이다.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KOSPI200, KOSPI50과 같은 특정지수의 수익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Index Fund). 인덱스 펀드와 뮤추얼 펀드의 특성을 결합한 상품이다. 개인 투자자가 소액으로도 어느 한 종목이 아닌 모든 시장을 살 수 있게 되었다.
파생상품
주식과 채권 등 전통적인 금융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기초자산의 가치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파생상품 거래의 대상이 되는 기초자산은 주식·채권·통화 등의 금융상품, 농·수·축산물 등의 일반상품도 가능하며,대표적인 파생상품으로는 선도거래,선물,옵셥,스왑등이있다.
레버리지
자산투자로부터 수익 증대를 위해 차입자본(부채)을 끌어다가 자산매입에 나서는 투자전략을 총칭하는 말이다.
인버스
기초자산의 움직임을 정반대로 추종하도록 설계된 금융투자 상품. 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 상장지수증권(ETN) 등의 형태로 시중에 나와 있다. 코스피 200지수의 등락과 반대로 움직이도록 설계된 인버스ETF가 가장 일반적이다.
시가총액
증시에 상장된 총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금액. 상장종목별로 그날 종가에 상장주식수를 곱한 후 합계해 산출한다. 개별기업의 실질적인 가치에 대해 그날그날의 평가치를 보여준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시가총액은 한국 전체 상장기업 시가총액의 약 5배.
주가수익률 PER
특정 주식의 주당시가를 주당이익으로 나눈 수치로,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낸다. 어떤 기업의 주식가격이 6만6000원이라고 하고 1주당 수익이 1만2000원이라면 PER는 5.5가 된다. 여기에서 PER이 높다는 것은 주당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PER이 낮다는 것은 주당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PER이 낮은 주식은 앞으로 주식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거래량
증권시장에서 매매거래가 성림된 수량. 주가지수와 함께 주식시자으이 장세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주가의 변동을 일으키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주가순자산비율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BPS)로 나눈 값으로, 주식투자의 기초지표 중 하나이다.
채권 Bond
정부, 공공단체, 주식회사 등이 일반인으로 부터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이다. 이때 채권을 발행하는 기관은 채무자, 그 소유자는 채권자가 된다. 채권투자수익의 원천은 세 가지 즉,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이자수입, 채권의 매입가격과 매도가격(만기시에는 액면가격)간의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자본이득 또는 손실, 기간별 이자지급액의 재투자로 발생하는 수입 등이 포함된다.
CMA 계좌 Cahs Management Account
자산관리계좌(Cash Management Account). 고객이 예치한 자금을 국공채 등에 투자해 그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금융상품이다. 입출금이 자유롭고,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지급된다. 주로 종합금융회사, 증권사 등의 금융기관에서 취급하는데, 종금사형은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최고 5000만원까지 보호되나, 증권사형은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니다.
매수,매도
매도는 주식을 파는 것, 매수는 주식을 사는 것을 뜻한다.
시가, 종가
시가는 하루 중 주식 거래시 최초의 가격, 종가는 장이 마감될 때 최종 가격이다.
고가, 저가
고가는 그날 장 중에서 가장 높았던 가격, 저가는 그날 장 중에 가장 낮았던 가격이다.
예수금
주식거래시 고객이 증권사 계좌에 입금한 금액 중 매매결제대금으로 사용하지 않은 금액을 말한다. (매매가 가능한 현금)
배당금
기업이 이익을 발생시켜 회사내에 누족하여 온 이익잉여금으 ㅣ일부를 기업의 소유주(주주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을 배당금이라고 한다.
기준금리
한국은행의 최고 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매달 회의를 통해서 결정하는 금리